728x90
반응형
BIG

전체보기 91

구강건조증의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 및 예방법

구강건조증의 정의와 원인구강건조증은 타액이 부족하여 입안이 건조해는 것을 말하는데요.즉, 타액선의 타액분비 감소가 주원인입니다.타액은 껌이나 파라핀왁스 자극 시 1분당 1~2mL 가량 배출됩니다.타액이 그 이하로 배출될 경우 구강건조증과 치아우식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1분당 0.7mL 미만일 경우에는 구강건조증으로 진단합니다. 구강건조증은 타액선에 병변이 나타나는 1차적 구강건조증과타액선에 병변이 나타나지 않으면서 약물 부작용, 빈혈, 당뇨 등으로 인해 증상이 생기는 2차적 구강건조증이 있습니다.쇠그렌증후군(Sjogren’s syndrome), 타액분비 억제 약물 복용, 정신성 또는 특발성 원인의 건조, 당뇨병, 구강 칸디다증, 과도한 알코올 섭취 등은 타액 분비를 억제합니다. 구강건조 증상..

이론/예방치학 2025.02.27

치아 시린 증상; 지각과민증의 원인, 예방 및 치료방법

지각과민증이란?지각과민증이란 상아질이 노출되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며, 치아가 시린 증상을 뜻합니다.여기서 상아질이란 치아는 성질에 따라 여러층으로 나눌 수 있는데 명칭으로 가장 겉에 있는 것이 법랑질, 그 다음으로 안에 있는 것이 상아질입니다.우리가 겉으로 볼 수 있는 치아는 법랑질이라고 부르며, 상아질이 노출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치아가 많이 닳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지각과민증은 보통 기계적, 열감, 촉감, 삼투 또는 화학적 반응으로 나타나며, 질환이라기보다는 복잡한 증상입니다.  지각과민증의 원인지각과민증은 주로 젊은층에 나타나는 증상이며, 나이가 들면서 무뎌지고 증상이 감소되는 경우도 있습니다.주로 지각과민증이 호발되는 치아는 견치나 소구치의 순면 즉, 송곳니와 바로 뒤 작은어금니의 바깥면인데요...

이론/예방치학 2025.02.08

구강병의 종류; 치경부마모증 원인과 예방법, 치아경계부 패임 현상

치경부마모증의 정의와 원인치경부마모증이란 잘못된 칫솔질과 치약 즉, 세치제의 과다한 마모력으로 인해 치아의 치경부가 마모되는 현상입니다.여기서 치아의 치경부란 치아와 잇몸 경계부를 말하며, 그 경계부가 패임 현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이것을 치경부마모증(cervical abrasion)이라고 합니다. 치경부마모증의 예방법치경부마모증은 치아가 패임으로써 상아질 지각과민증으로 이어지며, 치아우식병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치경부마모증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고 노력해야합니다.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치아는 칫솔질 하는 시간, 칫솔질 하는 횟수, 칫솔 강모의 강도, 칫솔질 방법, 세치제(치약) 마모도 등의 영향을 받습니다.칫솔질은 3분 이내로 끝내는 것을 권유드립니다.오랜시간동안 칫솔질을 하는 것도 치아조직..

이론/예방치학 2025.01.23

구강병의 종류; 반점치의 정의와 원인, 예방법, 불소이온농도 하향조정법

반점치란?반점치란 치아 표면에 백색이나 갈색의 반점을 가지고 있는 치아를 말합니다.주로 불소이온이 과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식음수를 식음하면 발생하게 됩니다.하지만 불소 이외에도 법랑질 형성부전의 원인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하지만 이것은 외형상으로 구별되지는 않습니다. 반점치의 발생우리나라에서 반점치는 대부분 온천지역에서 발생되었다고 보고되었습니다.그리고 유치보다 영구치에서 반점치의 발생이 현저하게 많이 보였는데요.이 반점치의 반점도는 식음수 불소이온농도와 식음시간에 비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즉 식음수 불소이온이 많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에 반점치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반점치가 생겼다고해서 나쁜 영향만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불소를 이용하여 치아우식병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반점치는 식음수 불소이온농도..

이론/예방치학 2025.01.20

구강암의 정의와 발생원인, 분포 및 빈도, 예방법에 대해

구강암의 정의우선 암이란 비정상적이거나 혹은 병적으로 세포 분열을 계속하여 조직이 커지거나, 이러한 세포가 주위 다른 조직으로 이동 혹은 침윤하여 계속 분열하는 세포 덩어리를 말하는데요.이러한 세포가 많아지거나 크기가 커지는 것을 종양이라고 하는데, 그 중에서도 암은 악성종양에 해당됩니다.구강암은 구강조직에 생기는 암을 말하며, 혀, 입술, 잇몸, 치아, 치조골 등에 생기는 악성종양입니다.  구강암의 발생원인구강암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는 대표적으로 흡연과 음주가 있습니다.특히 흡연은 구강암의 발생에 아주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그 외에도 청결하지 못한 구강환경, 불량한 보철물이나 충전물에 의한 만성적인 자극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구강암의 분포 및 빈도구강암은 일반적으로 40대 이후의 사람들에..

이론/예방치학 2025.01.11

부정교합의 분류와 원인, 예방법에 대해

부정교합이란?교합은 상하악의 치아, 즉 위아래 치아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를 뜻합니다.교합 앞에 ‘부정’이 붙은 이 부정교합은 상하악의 치아가 올바르게 맞물리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는데요.이때 부정교합을 판단하는 기준은 상악 치아를 기준으로 하악 치아의 위치를 표현합니다.부정교합의 분류부정교합은 구치부(어금니) 교합관계의 이상 혹은 전치부(앞니) 교합관계의 이상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구치부 교합관계의 이상은 다시 1급, 2급, 3급 부정교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class1(1급 부정교합)구치부의 교합관계는 정상이지만 하나 혹은 두개 이상의 치아가 부정확하게 배열된 상태를 뜻합니다.외관상으로 보기에는 정상교합과 별다를 바 없어보이기도 합니다.class2(2급 부정교합)상악전돌 부정교합, 즉 원심교합입니다...

치아교정 2025.01.09

건강한 잇몸과 그렇지 못한 잇몸의 차이점; 치주조직의 변화

양치하다보면 한번 씩 피가 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칫솔질을 너무 세게해서 잇몸에 상처가 생겨서 피가 생길 수도 있지만 어쩌면 부어있던 잇몸에 자극이 생겨 조금만 건드려도 쉽게 피가 나는 것일 수 있습니다.건강한 잇몸과 그렇지 못한 잇몸의 차이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본인은 어떤 구강 상태를 가지고 있고,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 확인이 필요하겠습니다.건강한 치은(잇몸)의 특징건강한 잇몸은 보통 연분홍색의 색상을 나타냅니다.표면은 귤 껍질처럼 오돌토돌한 질감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를 치은점몰(gingival stippling)이라고 부릅니다.또 견고하고 단단한 질감을 가지고 있으며, 치은열구(gingival sulcus)의 깊이는 2~3mm 이내입니다.치은퇴축(gingival recession)이나 ..

이론/예방치학 2025.01.07

치주병의 종류와 특징, 예방법; 치아우식병과의 차이점

치아우식병은 치아에 생기는 충치를 말합니다.그렇다면 치주병은 무엇이며 치아우식병과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치주병치주병이란 치조골이라 불리는 치아주위 조직의 뼈를 파괴시키는 염증성 질환을 뜻합니다.보통 치아 주위조직에서 발생하며 서서히 진행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치아우식병은 치아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말하며, 치아에만 국한되어 치료를 합니다.하지만 치주병은 치아가 아닌 잇몸부근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므로 치료 접근방법은 다르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이 치주병은 치아우식병과 통틀어 양대 구강병이라고 불리며, 치아를 발치할 수도 있는 원인 질환으로 중요한 관리대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치주병의 종류치주병은 크게 치은염과 치주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치은염은 치주질환의 초기 단계입니다.보통 주위가 붉어지는 발..

이론/예방치학 2025.01.07

치아우식병의 종류와 연령에 따른 증가 원인; 충치에도 종류가 있다?

치아우식병이란?충치라고 불리는 이 치아우식병이란 무엇일까요?모두가 잘 알다시피 양치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음식물 잔사가 쌓이고 쌓이다가 결국 치아가 썩는 것입니다.정의를 설명하자면 법랑질, 상아질 등의 치질이 파괴되어 무기질과 유기질이 이탈되어 생긴 치아결손 현상입니다.여기서 법랑질은 치아의 가장 바깥 표면을 말하며, 상아질은 법랑질보다 안에 있는 치질입니다.치아우식병은 모든 사람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만성병이라고 불릴 수 있으며, 충치로 인해 파괴된 치아 조직은 다시 재생되지 않습니다. 치아우식병의 종류치아우식병은 우식이 진행된 정도에 따라 법랑질 우식, 상아질 우식, 치수침범 우식, 치근침범 우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위 사진에서 보이다시피 가장 표면인 법랑질에만 우식이 진행됐으면 법랑질 우식, 상아..

이론/예방치학 2025.01.04

치아 발치의 적응증과 금기증; 치아 발치를 하면 안되는 경우

치아 발치의 적응증일반적으로 치아 발치의 적응증 즉, 발치를 해도 되는 경우는 대부분 통증이 없고, 뽑으면 그냥 뽑히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아이들의 경우 유치를 예로 들 수 있으며, 궤양(rega-fede병)이나 육아종을 유발하는 선천 치아나 신생치(조기맹출 치아)를 가진 경우는 발치가 가능하다.유치 다음 맹출하게 될 영구치의 맹출에 방해 및 장애가 되는 유치는 얼른 발치를 하는 것이 좋다.(이런 치아를 '만기잔존유치, 유착치' 라고 부른다) 신경치료에 실패를 하고 예후가 좋지 않을 경우 보존적인 치료가 불가능한 잔존 치근(뿌리)은 발치를 시행할 수 있다.또 과잉치, 매복치, 전위치 등의 치아 위치 이상으로 주변 치아, 주위조직에 장애를 주는 치아는 발치가 가능하다.악골골절의 골절선에 위치한 치아 즉,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