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정리

구강영상학 요약정리2

tooth teeth 2024. 8. 19. 22:33
728x90
반응형
LIST

 

 

[촬영법의 기초]

1.구내촬영의 종류

①치근단촬영(등각/평행)

②교익촬영

③교합촬영

 

2.치근단촬영의 목적

①치아와 치주조직 검사 및 평가

②발치 전 치근의 형태 평가

③치근단 병소의 평가

④미맹출 치아의 존재 여부와 위치 평가

⑤근관치료 전후의 근관의 수와 형태 평가

⑥치근단 절제술 전후 평가

 

3.환자의 머리고정

-기준: 정중시상면 & 교합면

①정중시상면⊥바닥

교합면∥바닥

②상악 촬영 시: 비익이주∥바닥

하악 촬영 시: 구각이주∥바닥

 

4.관구의 위치설정

-수직각도: 상악(+) / 하악(-)

-수평각도: 중심선이 인접면에 평행

 

5.필름의 위치설정

-앞면(인식점이 있는 면)

:검사할 부위 뒤에 위치

-전치부: 세로 / 구치부: 가로

-필름의 상하연: 절단연, 교합면과 평행

-인식점은 항상 치관 쪽에 위치

 

6.등각촬영법

1)원리

-치아 장축과 필름이 이루는 각의 가상 이등분선에 중 심

선을 직각으로 조사하는 촬영법

-합동의 법칙이라는 기하학적 원리를 이용

-수직각↑:영상의 단축

-수직각↓:영상의 연장

 

2)부위별 촬영 방법

  부위 수직각 수평각
상악 절치 40~50 0
견치 40~55 60~70
소구치 30~40 70~80
대구치 20~30 80~90
하악 절치 -15~25 0
견치 -20~30 45~50
소구치 -10~15 70~80
대구치 0~-5 80~90

 

3)장점

①평행촬영법으로 촬영이 어려운 해부학적 장애물이

있는 환자에서 적용

②단조사통을 사용하여 노출시간을 줄일 수 있음

③소아 등 평행촬영법이 어려운 환자 촬영 가능

 

4)단점

①확대율 차이에 의한 상의 왜곡 발생

②수직각을 정확히 맞추기 어려워 상의연장/단촉 발생

③상악 구치부 관골돌기

④손가락으로 필름유지시 불필요한 일차방사선 노출

⑤단조사통 사용 시 영상 확대(X선이 퍼져서 진행

 

7.평행촬영법

1)원리

-필름은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위치

-중심선은 치아 장축과 필름에 수직

-필름유지기구 이용

 

2)장점

①왜곡x, 선명하고 명확한 상

②관구의 조사각도 쉽게 조정(XCP)

③중심선의 조사방향 쉽게 조정(XCP)

④반복 촬영 시 표준화하기 쉽고, 정확히 재현

3)단점

①필름을 치아장축에 평행시키기 어려움

②불편감,통증,구토,점막부위 손상

 

8.등각촬영법 VS 평행촬영법

  등각 평행
방사선원은 가능한 작아야함 O O
방사선원은 피사체와 가능한 멀어야함 X O
피사체와 필름은 가능한 가까워야함 O X
피사체와 필름은 가능한 평행해야함 X O
중심선은 피사체,필름에 수직이어야함 X O

 

9.교익촬영법

1)목적

①초기 인접면 치아우식증 및 재발성 우식증 검사

②치주질환 유무 및 그 정도 평가

③상하악 치아 교합관계 검사

④치수강 검사

⑤치아우식증의 치수접근도 검사

⑥충전물의 적합도 검사

 

2)장점

-한 장의 필름으로 여러 개의 치아검사 기능

(촬영 횟수↓)

 

3)단점

-치근단 부위 관찰x

(추가 치근단 촬영 필요할 수 있음)

 

10.피사체 위치결정법

1)관구이동법

①클라크 법칙: S(같으면) L(설측) O(반대면) B(협측)

-두번의 관구 이동 촬영으로 비교

②협측피사체 법칙: S(같으면) L(설측) O(반대면) B(협측)

-하악관 위치 결정법

-한 장은 0도의 수직각/ 다른 한 장은 -20도의 수직각

 

11.파노라마촬영법

1)목적

①제3대구치, 매복치 평가

②치아 및 치주조직 전반적인 평가

③악골의 질환, 병소 등의 평가

④큰 병소의 이환 범위 평가

⑤외상에 의한 악안면 골절 평가

⑥치아 및 악골의 발육과정과 이상 유무 평가

⑦상악동 평가

⑧측두하악관절 평가

 

2)장점

①상하악 전체를 포함

②촬영법이 비교적 간단

③촬영 시 불편감x -> 환자의 협조도↑

④상대적으로 적은 방사선 노출량

 

3)단점

①구내촬영보다 해상도,선예도↓

②상층에서 벗어난 물체는 보이지 않음(단층촬영)

③상의 확대, 왜곡, 중첩↑

④촬영기가 크고 비쌈

 

12.전악구내촬영 VS 파노라마 촬영

  파노라마 전악 구내촬영
시간 약 2분 10배이상 소요
불편감 X O
피폭량 50~90% 감소 *
선명도 저하 우수

 

13.소아환자 촬영법

-등각촬영법 이용

-수직각도 성인보다↑

-노출량↓

(10세 미만: 50%노출시간↓/10세~15세: 25%노출시간↓)

 

14.무치악환자 촬영법

-유치악환자와 같이 14매 치근단 필름 필요

-치근단 등각촬영 시 수직각도 55~65도 매우 증가

-유치악 환자에 비해 25% 노출시간↓

 

15.디지털 촬영법

1)장점

①높은 해상도

②노출량 감소

③빠른 영상조회

④장비, 필름 경비 절감

⑤효율성 증대

⑥효율적인 환자 교육용 도구

⑦영상 처리: 디지털영상의 화질향상,복원,분석 가능

2)단점

①초기설치비용

②구내용 센서의 이물감

③감염관리

 

 

[정상해부학적 구조의 구내영상]

-방사선 투과성 VS 방사선 불투과성

-치아/치주조직/상악 구조물/하악구조물

 

1.치아

법랑질 불투과성 -인체 구성 물질 중 가장 치밀 한 조직
-92%무기질
-방사선 영상에서 치관부 가장 바깥쪽에 뚜렷한 방사선불투 과성의 흰 층
상아질 불투과성 -치아의 대부분을 구성
-65%석회화
-사기질보다는 약간 어두움
-골의 흑화도와 비슷
백악질 불투과성 -50%석회화
-대개 방사선 영상에서 식별 불 가
치수 투과성 -X선이 쉽게 치수를 통과하여 필름에 도달

 

2.치주조직

치조골 불투과성 -대부분 해면골
치조정 불투과성 -인접치아 CEJ하방
1.5~2.0mm이내
치조백선 불투과성 -피질골
-치조정의 피질골과 연결
-치근을 둘러싼 흰 선
-교합력이 과도한 치근 주 위: 넓고 치밀함
-치근단 병소가 있는 경우 불연속적
-연령↑∝두께↓
치주인대강 투과성 -치근과 치조백선 사이 얇 은 선
-매복치,대합치가 없는 치 아의 치근에서 좁게 나타 남(교합압x)

 

3.상악의 구조

절치공 투과성
정중구개봉합 투과성
비와 투과성
비중격 불투과성
하비갑개 불투과성
전비극 불투과성
측와 투과성
상악동 투과성
상악동 중격 불투과성
역Y자 불투과성
광대돌기 불투과성
상악융기 불투과성
갈고리돌기 불투과성

 

4,하악의 구조

설공 투과성
이극 불투과성
이융선 불투과성
이와 투과성
이공 투과성
악설골융선 불투과성
악하선와 투과성
외사선/내사선 불투과성
하악관 투과성
영양관 투과성
근육돌기 불투과성

 

 

[방사선영상 검사의 기초]

1.치아우식병 구강영상

1)인접면우식

①초기인접면우식(ClassⅠ병소)

-사기질 두께의 절반을 넘지 않음

-접촉점 또는 접촉점 직하방

-방사선투과상

②중기인접면우식(ClassⅡ병소)

-사기질 두께의 절반을 넘어감

-상아사기질경계 침범하지 않음

-사기질에서만 관찰

③진행된 인접면우식(ClassⅢ병소)

-상아사기질경계를 지나 상아질 내로 침범

-상아질거리의 절반을 넘지 않음

-사기질,상아질 모두 침범

④심한 인접면우식(ClassⅣ병소)

-사기질을 지나 치수 쪽 상아질거리 절반을 넘어 침투

-치아에 와동으로 나타남

 

2)교합면 우식

-상아사기질경계 침범 전에는 X선영상 관찰 불가

①초기 교합면 우식

-X선 영상 관찰 불가

-임상적으로 식별

②중기 교합면 우식

-상아질 내로 침투

-매우 얇은 방사선투과성 선

-방사선투과상이 교합면 사기질 하방에 위치

③심한 교합면 우식

-큰 방사성투과상

-임상적으로 뚜렷, 치아 내 와동으로 나타남

 

3)협설면 우식

-주로 소와,구에서 시작

-정상 치아 구조물과 중첩되어 나타나 식별 어려움

-임상적으로 가장 잘 관찰

-작은 원형의 방사선투과성 부위로 나타남

 

4)치근면우식

-사기질은 침범하지 않음

-하악 소구치, 대구치 노출 치근면 호발

-X선영상에서 CEJ직하방, 화산모양 방사선투과상

 

5)재발성 우식

-기존 수복물에 인접해서 발생

-수복물 직하방에서 방사선투과상

6)광범위 우식(다발성 우식)

7)방사선우식

-치경부~주위로 확산

 

2.치아우식 판독에 영향을 주는 인자

①치경부 소환

-치경부는 사기질,치조골 양의 부족으로 상대적으로 인 접 부위보다 방사선투과상으로 나타남

-전치부: 띠모양/ 구치부: 삼각형 모양

-근원심 양측에서 나타남

-치조골 소실 여부로 치근면우식과 구별

 

②착시현상

-어두운쪽에 접할수록 더 밝게 보이고, 밝은 쪽에 접할 수록 더 어둡게 보임 (마하 띠 효과)

-인접면우식과 감별

 

3.치주병 구강영상

1)치주질환

-치조정은 CEJ하방 1.5~2.0mm이내x

-방사선불투과성 소실

-치조정 희미

-골소실

 

2)임상적 검사 VS 방사선학적 검사

①임상적 검사

-염증의 증상 평가

-치주탐침

②방사선학적 검사

-골소실 양상,분포,심각도

-평행촬영법으로 치조정 높이 관찰

-교익영상으로 심각한 인접 골소실 관찰

 

3)치주질환 영상판독

-골소실: 남아있는 골의 양만 파악 가능

-골소실 심각도->CAL임상적부착소실로 측정

-수평적 골소실: 인접치의 CEJ 평행한 평면으로 골소실

-수직적 골소실: 인접치의 CEJ 평행x

-국소적 골소실: 30%이하 영역

-전반적 골소실: 30%이상 영역, 치열궁 따라 균일

 

4)치주질환 분류

①ADA Case 유형Ⅰ(치은염)

-골소실x, 염증만o

-치조백선이 불명확, 불연속적

-수평적 골소실多

-치조정은 CEJ하방 1~2mm

②ADA Case 유형Ⅱ (경도 치주염)

-골소실은 치조정의 미약한 변화

-치조백선 불명확, 불연속적

-수평적 골소실多

-치조정은 CEJ하방 3~4mm

-탐침 시 출혈, 치주낭, 치은퇴축

 

③ADA Case 유형Ⅲ (중등도 치주염)

-수평적 또는 수직적 골소실

-치조정은 CEJ하방 4~6mm

-치주낭 형성, 부착상실 6mm까지 나타남

-치은퇴축, 분지부 이환, 경도의 동요도

 

④ADA Case 유형Ⅳ (심한 치주염)

-골소실이 더욱 진행, 수평 또는 수직

-치조정은 CEJ하방 6mm 이상

-분지부 병소

-동요도 심함

5)치주질환 위험인자

①치석: 방사선불투과성

②수복물 결함

 

4.치근단병소 구강영상

①치근단 농양

-치수괴사의 결과

-치근단 주위에 농의 국소적 집약

-X선 영상: 치주인대강 확장

-근단 경계가 불명확해짐

-방사선 투과성 병소 관찰

 

②치근단 육아종

-비생활치의 근단에 있는 만성적으로 염증화된 육아조 직

-치주인대강의 확장(원형,타원형의 방사선투과상)

-치조백선은 치근단과 근단병소 사이에서 관찰x

 

③치근단낭

-장기간에 걸쳐서 진행, 무증상

-대부분 치아와 관련된 낭

-낭은 비교적 경계가 뚜렷, 경계부가 피질골로 쌓여있음

-수평각도를 20도 달리하여 감별

 

5.치근주위 방사선불투과성 병소

①경화성 골염

-골소주의 수가 불규칙적으로 증가, 두꺼워짐

-골수강의 크기 감소

-X선영상에서 희게 관찰

-치근단 중심쪽에서 멀어질수록 골경화가 일어남

-대부분 치주인대강의 확장

-잔존치근과 감별요함

 

②골경화증

-비염증성 원인으로 골수강이 좁아짐

-골조직이 치밀해짐

-비정상적인 외력에 대한 보상반응의 결과

-주로 하악소구치, 대구치 치근단 주위多

-관련 치아는 정상적인 치수생활력을 가짐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