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촬영법의 기초]
1.구내촬영의 종류
①치근단촬영(등각/평행)
②교익촬영
③교합촬영
2.치근단촬영의 목적
①치아와 치주조직 검사 및 평가
②발치 전 치근의 형태 평가
③치근단 병소의 평가
④미맹출 치아의 존재 여부와 위치 평가
⑤근관치료 전후의 근관의 수와 형태 평가
⑥치근단 절제술 전후 평가
3.환자의 머리고정
-기준: 정중시상면 & 교합면
①정중시상면⊥바닥
교합면∥바닥
②상악 촬영 시: 비익이주∥바닥
하악 촬영 시: 구각이주∥바닥
4.관구의 위치설정
-수직각도: 상악(+) / 하악(-)
-수평각도: 중심선이 인접면에 평행
5.필름의 위치설정
-앞면(인식점이 있는 면)
:검사할 부위 뒤에 위치
-전치부: 세로 / 구치부: 가로
-필름의 상하연: 절단연, 교합면과 평행
-인식점은 항상 치관 쪽에 위치
6.등각촬영법
1)원리
-치아 장축과 필름이 이루는 각의 가상 이등분선에 중 심
선을 직각으로 조사하는 촬영법
-합동의 법칙이라는 기하학적 원리를 이용
-수직각↑:영상의 단축
-수직각↓:영상의 연장
2)부위별 촬영 방법
부위 | 수직각 | 수평각 | |
상악 | 절치 | 40~50 | 0 |
견치 | 40~55 | 60~70 | |
소구치 | 30~40 | 70~80 | |
대구치 | 20~30 | 80~90 | |
하악 | 절치 | -15~25 | 0 |
견치 | -20~30 | 45~50 | |
소구치 | -10~15 | 70~80 | |
대구치 | 0~-5 | 80~90 |
3)장점
①평행촬영법으로 촬영이 어려운 해부학적 장애물이
있는 환자에서 적용
②단조사통을 사용하여 노출시간을 줄일 수 있음
③소아 등 평행촬영법이 어려운 환자 촬영 가능
4)단점
①확대율 차이에 의한 상의 왜곡 발생
②수직각을 정확히 맞추기 어려워 상의연장/단촉 발생
③상악 구치부 관골돌기
④손가락으로 필름유지시 불필요한 일차방사선 노출
⑤단조사통 사용 시 영상 확대(X선이 퍼져서 진행
7.평행촬영법
1)원리
-필름은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위치
-중심선은 치아 장축과 필름에 수직
-필름유지기구 이용
2)장점
①왜곡x, 선명하고 명확한 상
②관구의 조사각도 쉽게 조정(XCP)
③중심선의 조사방향 쉽게 조정(XCP)
④반복 촬영 시 표준화하기 쉽고, 정확히 재현
3)단점
①필름을 치아장축에 평행시키기 어려움
②불편감,통증,구토,점막부위 손상
8.등각촬영법 VS 평행촬영법
등각 | 평행 | |
방사선원은 가능한 작아야함 | O | O |
방사선원은 피사체와 가능한 멀어야함 | X | O |
피사체와 필름은 가능한 가까워야함 | O | X |
피사체와 필름은 가능한 평행해야함 | X | O |
중심선은 피사체,필름에 수직이어야함 | X | O |
9.교익촬영법
1)목적
①초기 인접면 치아우식증 및 재발성 우식증 검사
②치주질환 유무 및 그 정도 평가
③상하악 치아 교합관계 검사
④치수강 검사
⑤치아우식증의 치수접근도 검사
⑥충전물의 적합도 검사
2)장점
-한 장의 필름으로 여러 개의 치아검사 기능
(촬영 횟수↓)
3)단점
-치근단 부위 관찰x
(추가 치근단 촬영 필요할 수 있음)
10.피사체 위치결정법
1)관구이동법
①클라크 법칙: S(같으면) L(설측) O(반대면) B(협측)
-두번의 관구 이동 촬영으로 비교
②협측피사체 법칙: S(같으면) L(설측) O(반대면) B(협측)
-하악관 위치 결정법
-한 장은 0도의 수직각/ 다른 한 장은 -20도의 수직각
11.파노라마촬영법
1)목적
①제3대구치, 매복치 평가
②치아 및 치주조직 전반적인 평가
③악골의 질환, 병소 등의 평가
④큰 병소의 이환 범위 평가
⑤외상에 의한 악안면 골절 평가
⑥치아 및 악골의 발육과정과 이상 유무 평가
⑦상악동 평가
⑧측두하악관절 평가
2)장점
①상하악 전체를 포함
②촬영법이 비교적 간단
③촬영 시 불편감x -> 환자의 협조도↑
④상대적으로 적은 방사선 노출량
3)단점
①구내촬영보다 해상도,선예도↓
②상층에서 벗어난 물체는 보이지 않음(단층촬영)
③상의 확대, 왜곡, 중첩↑
④촬영기가 크고 비쌈
12.전악구내촬영 VS 파노라마 촬영
파노라마 | 전악 구내촬영 | |
시간 | 약 2분 | 10배이상 소요 |
불편감 | X | O |
피폭량 | 50~90% 감소 | * |
선명도 | 저하 | 우수 |
13.소아환자 촬영법
-등각촬영법 이용
-수직각도 성인보다↑
-노출량↓
(10세 미만: 50%노출시간↓/10세~15세: 25%노출시간↓)
14.무치악환자 촬영법
-유치악환자와 같이 14매 치근단 필름 필요
-치근단 등각촬영 시 수직각도 55~65도 매우 증가
-유치악 환자에 비해 25% 노출시간↓
15.디지털 촬영법
1)장점
①높은 해상도
②노출량 감소
③빠른 영상조회
④장비, 필름 경비 절감
⑤효율성 증대
⑥효율적인 환자 교육용 도구
⑦영상 처리: 디지털영상의 화질향상,복원,분석 가능
2)단점
①초기설치비용
②구내용 센서의 이물감
③감염관리
[정상해부학적 구조의 구내영상]
-방사선 투과성 VS 방사선 불투과성
-치아/치주조직/상악 구조물/하악구조물
1.치아
법랑질 | 불투과성 | -인체 구성 물질 중 가장 치밀 한 조직 -92%무기질 -방사선 영상에서 치관부 가장 바깥쪽에 뚜렷한 방사선불투 과성의 흰 층 |
상아질 | 불투과성 | -치아의 대부분을 구성 -65%석회화 -사기질보다는 약간 어두움 -골의 흑화도와 비슷 |
백악질 | 불투과성 | -50%석회화 -대개 방사선 영상에서 식별 불 가 |
치수 | 투과성 | -X선이 쉽게 치수를 통과하여 필름에 도달 |
2.치주조직
치조골 | 불투과성 | -대부분 해면골 |
치조정 | 불투과성 | -인접치아 CEJ하방 1.5~2.0mm이내 |
치조백선 | 불투과성 | -피질골 -치조정의 피질골과 연결 -치근을 둘러싼 흰 선 -교합력이 과도한 치근 주 위: 넓고 치밀함 -치근단 병소가 있는 경우 불연속적 -연령↑∝두께↓ |
치주인대강 | 투과성 | -치근과 치조백선 사이 얇 은 선 -매복치,대합치가 없는 치 아의 치근에서 좁게 나타 남(교합압x) |
3.상악의 구조
절치공 | 투과성 |
정중구개봉합 | 투과성 |
비와 | 투과성 |
비중격 | 불투과성 |
하비갑개 | 불투과성 |
전비극 | 불투과성 |
측와 | 투과성 |
상악동 | 투과성 |
상악동 중격 | 불투과성 |
역Y자 | 불투과성 |
광대돌기 | 불투과성 |
상악융기 | 불투과성 |
갈고리돌기 | 불투과성 |
4,하악의 구조
설공 | 투과성 |
이극 | 불투과성 |
이융선 | 불투과성 |
이와 | 투과성 |
이공 | 투과성 |
악설골융선 | 불투과성 |
악하선와 | 투과성 |
외사선/내사선 | 불투과성 |
하악관 | 투과성 |
영양관 | 투과성 |
근육돌기 | 불투과성 |
[방사선영상 검사의 기초]
1.치아우식병 구강영상
1)인접면우식
①초기인접면우식(ClassⅠ병소)
-사기질 두께의 절반을 넘지 않음
-접촉점 또는 접촉점 직하방
-방사선투과상
②중기인접면우식(ClassⅡ병소)
-사기질 두께의 절반을 넘어감
-상아사기질경계 침범하지 않음
-사기질에서만 관찰
③진행된 인접면우식(ClassⅢ병소)
-상아사기질경계를 지나 상아질 내로 침범
-상아질거리의 절반을 넘지 않음
-사기질,상아질 모두 침범
④심한 인접면우식(ClassⅣ병소)
-사기질을 지나 치수 쪽 상아질거리 절반을 넘어 침투
-치아에 와동으로 나타남
2)교합면 우식
-상아사기질경계 침범 전에는 X선영상 관찰 불가
①초기 교합면 우식
-X선 영상 관찰 불가
-임상적으로 식별
②중기 교합면 우식
-상아질 내로 침투
-매우 얇은 방사선투과성 선
-방사선투과상이 교합면 사기질 하방에 위치
③심한 교합면 우식
-큰 방사성투과상
-임상적으로 뚜렷, 치아 내 와동으로 나타남
3)협설면 우식
-주로 소와,구에서 시작
-정상 치아 구조물과 중첩되어 나타나 식별 어려움
-임상적으로 가장 잘 관찰
-작은 원형의 방사선투과성 부위로 나타남
4)치근면우식
-사기질은 침범하지 않음
-하악 소구치, 대구치 노출 치근면 호발
-X선영상에서 CEJ직하방, 화산모양 방사선투과상
5)재발성 우식
-기존 수복물에 인접해서 발생
-수복물 직하방에서 방사선투과상
6)광범위 우식(다발성 우식)
7)방사선우식
-치경부~주위로 확산
2.치아우식 판독에 영향을 주는 인자
①치경부 소환
-치경부는 사기질,치조골 양의 부족으로 상대적으로 인 접 부위보다 방사선투과상으로 나타남
-전치부: 띠모양/ 구치부: 삼각형 모양
-근원심 양측에서 나타남
-치조골 소실 여부로 치근면우식과 구별
②착시현상
-어두운쪽에 접할수록 더 밝게 보이고, 밝은 쪽에 접할 수록 더 어둡게 보임 (마하 띠 효과)
-인접면우식과 감별
3.치주병 구강영상
1)치주질환
-치조정은 CEJ하방 1.5~2.0mm이내x
-방사선불투과성 소실
-치조정 희미
-골소실
2)임상적 검사 VS 방사선학적 검사
①임상적 검사
-염증의 증상 평가
-치주탐침
②방사선학적 검사
-골소실 양상,분포,심각도
-평행촬영법으로 치조정 높이 관찰
-교익영상으로 심각한 인접 골소실 관찰
3)치주질환 영상판독
-골소실: 남아있는 골의 양만 파악 가능
-골소실 심각도->CAL임상적부착소실로 측정
-수평적 골소실: 인접치의 CEJ 평행한 평면으로 골소실
-수직적 골소실: 인접치의 CEJ 평행x
-국소적 골소실: 30%이하 영역
-전반적 골소실: 30%이상 영역, 치열궁 따라 균일
4)치주질환 분류
①ADA Case 유형Ⅰ(치은염)
-골소실x, 염증만o
-치조백선이 불명확, 불연속적
-수평적 골소실多
-치조정은 CEJ하방 1~2mm
②ADA Case 유형Ⅱ (경도 치주염)
-골소실은 치조정의 미약한 변화
-치조백선 불명확, 불연속적
-수평적 골소실多
-치조정은 CEJ하방 3~4mm
-탐침 시 출혈, 치주낭, 치은퇴축
③ADA Case 유형Ⅲ (중등도 치주염)
-수평적 또는 수직적 골소실
-치조정은 CEJ하방 4~6mm
-치주낭 형성, 부착상실 6mm까지 나타남
-치은퇴축, 분지부 이환, 경도의 동요도
④ADA Case 유형Ⅳ (심한 치주염)
-골소실이 더욱 진행, 수평 또는 수직
-치조정은 CEJ하방 6mm 이상
-분지부 병소
-동요도 심함
5)치주질환 위험인자
①치석: 방사선불투과성
②수복물 결함
4.치근단병소 구강영상
①치근단 농양
-치수괴사의 결과
-치근단 주위에 농의 국소적 집약
-X선 영상: 치주인대강 확장
-근단 경계가 불명확해짐
-방사선 투과성 병소 관찰
②치근단 육아종
-비생활치의 근단에 있는 만성적으로 염증화된 육아조 직
-치주인대강의 확장(원형,타원형의 방사선투과상)
-치조백선은 치근단과 근단병소 사이에서 관찰x
③치근단낭
-장기간에 걸쳐서 진행, 무증상
-대부분 치아와 관련된 낭
-낭은 비교적 경계가 뚜렷, 경계부가 피질골로 쌓여있음
-수평각도를 20도 달리하여 감별
5.치근주위 방사선불투과성 병소
①경화성 골염
-골소주의 수가 불규칙적으로 증가, 두꺼워짐
-골수강의 크기 감소
-X선영상에서 희게 관찰
-치근단 중심쪽에서 멀어질수록 골경화가 일어남
-대부분 치주인대강의 확장
-잔존치근과 감별요함
②골경화증
-비염증성 원인으로 골수강이 좁아짐
-골조직이 치밀해짐
-비정상적인 외력에 대한 보상반응의 결과
-주로 하악소구치, 대구치 치근단 주위多
-관련 치아는 정상적인 치수생활력을 가짐
'이론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리학 정리; 진통제, 당뇨병과 치과와의 관계 (0) | 2024.08.21 |
---|---|
약리학 정리; 항불안 및 진정수면제, 마취제 (0) | 2024.08.21 |
구강영상학 요약정리1 (0) | 2024.08.19 |
구강조직발생학 요약정리 (0) | 2024.08.19 |
구강미생물학 요약정리 (0) | 2024.08.19 |